본문 바로가기

PaaS-Ta/이론

[Paas-Ta] PaaS

01. PaaS

 

1-1 PaaS의 특징 :

 

1-2 PaaS의 장점 :

① 애플리케이션 개발, 실행, 관리 할 수 있게 하는 플랫폼을 제공
SaaS의 개념을 개발 플랫폼에 확장한 방식
③ 개발을 위한 플랫폼 구축 필요 없이 웹에서 쉽게 빌려 쓸 수 있는 모델
④ 개발자는 개발에만 집중,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 주변 환경은 가져다 쓰는 구조
⑤ 개발에서 배포까지 라이프사이클이 짧아 DevOps 문화를 적용하기 용이함

 

1-3 PaaS의 종류 :

① PUBLIC : 서비스 제공업체가 구축한 서버, 스토리지 등의 IT 인프라를 기업들이 사용료를 내고 이용하는 방식

② HYBRIDE : Public 클라우드와 Private클라우드를 동시에 제공하고 양쪽 장점만 선택해 사용 가능한 클라우드 서비스

③ PRIVATE : 기업 자체적으로 데이터센터 안에 클라우드 환경을 구축해 사용하는 방식

1-4 PaaS의 동작 원리 :

IaaS 자원 위에 여러 인스턴스들의 유기적인 조합으로 PaaS 동작

 

예 : Application이 실제 배포 시 PaaS의 구성요소 중 Diego cell에서의 모습

 

1-5 주요 용어 1 : BuildPack

 

1-5 주요 용어 2 : Org & Space

ORG : 

- 개인 또는 여러 공동 작업자가 소유하고 사용할 수 있는 개발 계정

- 각 계정은 ORG에 롤을 부여 받을 수 있음 

ex : Org Manager, Org Auditor, Org Biling Manager, Org User

 

SPACE :

- 모든 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의 범위가 공간으로 지정 

ex : Space Manager, Space Developer, Space Auditor

*Space Developer 만이 애플리케이션 실행 및 서비스를 연동할 수 있음

 

1-5 주요 용어 3 : Application & Services

Market Place에서 준비되어있는 서비스를 골라서 사용 가능

연결된 서비스는 해당 Application환경 변수로 확인가능

 

제공 가능한 서비스들

 

1-5 주요 용어 4 : Bosh

 

'PaaS-Ta > 이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Paas-Ta] Cloud Native Application  (0) 2022.01.17
[Paas-Ta] SaaS  (0) 2022.01.17
[Paas-Ta] IaaS  (0) 2022.01.17
[Paas-Ta] Cloud Model  (0) 2022.01.17
[Paas-Ta] Cloud Basic  (0) 2022.01.1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