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PaaS-Ta/이론

[Paas-Ta] IaaS

01. IaaS 

 

1-1 IaaS 의특징 : 

- 물리적 리소스를 가상화 하여 유연한 Infrastructure을 제공

 

1-2 가상화 유형 :

 

 

hypervisor 란?  :

- hypervisor가상 머신(Virtual Machine, VM)을 생성하고 구동하는 소프트웨어

 

hypervisor 방식 : VM위에다가 GuestOS를 설치하고 각각의 OS환경에서 라이브러리를 설치하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그위에다가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것, 그러다보니까 상대적으로 레이어 계층이 많다container 방식 : 운영체제 위에다가 컨테이너 운영 엔진(도커엔진)을 설치, 그위에 컨테이너를 올린다.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컨테이너는 운영체제를 가지고있는것이 아니라 실행환경만을 독립적으로 가지고있다.

 

방식별 어플리케이션 구동의 차이 

container: 어플리케이션구동 -> 실행환경 -> 컨테이너 운영엔진  -> HostOS -> 하드웨어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<명령어 처리 후 명령>

hypervisor: 어플리케이션구동 -> GuestOS -> 가상화머신쪽 하드웨어 -> hypervisor가 해독 -> HostOS, 하드웨어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<명령>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<직접적 명령>

 

hypervisor 방식은 2중처리 가 된다, GuestOS에서 1번 hypervisor 에서 또 1번따라서 container 방식2중처리를 거치지 않기 때문에 조금더 빠르다

 

1-2 제공 유형 : 

Public laaS : 클라우드 서비스를 하는 사업자가 자사의 IaaS 솔루션을 개발하여 설치후 실제로 운영하는 것

                 사용자는 그 IaaS에서 가상 머신을 빌려 사용

 

Project IaaS : 실제로 하드웨어를 가진 회사에서 IaaS를 설치를 할수 있게 제공하는 회사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예를 들어 openstack을 솔루션을 받아 자신의 하드웨어에 설치하면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하드웨어가 IaaS처럼 가상서버를 해서 사용할수 있게끔 제공하는 형태로 제공

 

 

1-3 IaaS의 종류 :  1. openstack

1-3 IaaS의 종류 :  2. vmware vSphere

1-3 IaaS의 종류 :  3. aws

1-3 IaaS의 종류 :  4. Google Cloud Platform

1-3 IaaS의 종류 :  5. Azure

'PaaS-Ta > 이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Paas-Ta] Cloud Native Application  (0) 2022.01.17
[Paas-Ta] SaaS  (0) 2022.01.17
[Paas-Ta] PaaS  (0) 2022.01.17
[Paas-Ta] Cloud Model  (0) 2022.01.17
[Paas-Ta] Cloud Basic  (0) 2022.01.1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