01. BOSH
1. BOSH의 개념
BOSH는 PaaS를 이루는 VM들을 설치 및 관리하는 도구
- BOSH는 manifest 파일을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전체 시스템의 작동 방식과 각 부분의 상호 작용 방식을
정의하도록 요청
- BOSH manifest는 해당 시스템의 모든 부분을 manifest를 통해 추적
- 시스템의 각 부분에 에이전트를 배치하여 하나의 제품에 오류가 발생하면 운영자에게 신속하게 경고하고
문제를 자동으로 복구할 수 있음 (라이프 관리의 이점)
- 운영자는 일반적으로 BOSH 커뮤니티에서 BOSH로 구축된 다양한 릴리스를 작성하고 관리하는 사람
- 릴리스에서는 manifest 파일을 사용하여 매번 동일한 방식으로 소프트웨어를 배포하는 데 필요한 모든 사항을 정의
- manifest 파일은 소스 코드, 운영 체제 종속성(operating system dependencies) 및 종속 파일을
명확히 식별 한 다음 모두 함께 패키지 함
- 그 내용은 압축 된 폴더에 넣어 BOSH 서버에 저장됨
- 운영자가 해당 릴리스를 배포하려고 할 때마다 매번 동일한 방식으로 릴리스를 예상대로
재구축하는 데 필요한 모든 것을 갖게 됨
- 소프트웨어를 전송하는 이러한 모든 방법은 릴리스 엔지니어링(release engineering)이라는 개념에서 비롯됨
1-1 BOSH의 컴포넌트 구성
1-2 BOSH의 구성 요소
1-3 Release
1-4 Stemcell
1-5 Mainfest
'PaaS-Ta > 이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Paas-Ta] Service Broker (0) | 2022.01.20 |
---|---|
[Paas-Ta] Microservices와 API Gateway (0) | 2022.01.17 |
[Paas-Ta] Cloud Native Application (0) | 2022.01.17 |
[Paas-Ta] SaaS (0) | 2022.01.17 |
[Paas-Ta] PaaS (0) | 2022.01.17 |